by uTechX | Jul 13, 2020 | FAQ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한 스크래치X 파일(.sbx 파일)이 있다고 합시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에서 스크래치X 온라인을 실행하고, 스크래치X의 파일 > Load Project 메뉴를 선택하여 기존에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한 스크래치X 파일(.sbx 파일)을 엽니다. 추가 블록을 선택하면 햄스터 로봇의 블록들이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스크래치X의 경우...
by uTechX | Jul 13, 2020 | FAQ
스크래치 오프라인의 경우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한 스크래치 파일(.sb2 파일)이 있다고 합시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에서 스크래치 오프라인을 실행하고, 스크래치의 파일 > 열기 메뉴를 선택하여 기존에 로봇을 사용하지 않고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한 스크래치 파일(.sb2 파일)을 엽니다. 추가 블록을 선택하면 햄스터 로봇의 블록들이 표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유는 스크래치의 경우 확장 블록에 대한 정보가...
by uTechX | Jul 13, 2020 | FAQ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의 스크래치 메뉴에서 초급, 중급, 고급 중 하나를 클릭하면 내부적으로 .sb2 파일을 실행하여 스크래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는 마치 .hwp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하면 아래한글 프로그램의 화면이 나타나는 것과 같습니다. .sb2 파일을 실행하였는데 스크래치 화면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PC에 스크래치 오프라인 에디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연결 프로그램이 스크래치 오프라인 에디터가 아닌 다른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스크래치 오프라인...
by uTechX | Jul 13, 2020 | FAQ
해결 방법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이미 실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실행되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이미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키보드의 Alt 키와 Tab 키를 동시에 누르면 현재 실행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의 작업 표시줄에서도 현재 실행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햄스터 로봇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가 살아 있는지 확인합니다.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가...
by uTechX | Jul 13, 2020 | FAQ
문제의 원인 블록 코딩의 경우에는 앞으로 이동하기 블록이 있어서 똑바로 전진하는 것이 필요한데, 텍스트 코딩의 경우에는 대부분 센서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코드를 작성하기 때문에 굳이 직진 보정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햄스터 로봇은 DC 모터를 사용하는데 DC 모터의 출력은 토크(회전하는 힘)입니다. 같은 힘으로 바퀴를 돌린다고 하더라도 기어가 빡빡하거나 느슨한 정도, 바퀴와 바닥 간의 마찰력, 타이어의 마모 상태 등에 따라 실제로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